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합검색
일과 삶의 균형으로 일도 생활도 즐겁게!
선택근무제 운영, 시차출퇴근제 운영 등 유연근무제 사무직 직원 100% 활용
자녀 1명 당 최대 2년의 육아휴직 기간 부여 및 복직률 100%
의무 근로시간을 10~17시로 단축 운영
5년 만근 시마다 1개월 유급 휴가 및 휴가비 제공
출산 휴가 100일(법정 휴가 90일 + 10일 유급 휴가) 지원
9~10시 출근 시간 자율 선택
코로나 기간 동안 재택근무 활성화(최근 출근 3일+ 재택 2일 운영)
원활한 재택근무 사용을 위한 모니터 등 각종 장비 지원
하루 7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주 35시간 근무
중식 지원 및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점심 시간 2시간
매월 둘째 주 금요일 오후 2시 퇴근
근속 1년 이상자 대상 번아웃 방지 및 리프레쉬를 위한 방학, 여향 휴가 지원 제도
매월 2 또는 3주차 수요일 오후 3시 퇴근
주 35시간 의무 근로 및 선택근무제 운영
초과 근무 발생하지 않도록 본부/팀별 성과 관리
주 35시간 의무 근로 및 매월 둘쨰주 금요일 유급 휴무
반려 동물과 동반 출근 가능 및 회사 숙소 등 휴가 지원
선택근무제 운영 및 활성화(적용 곤란 직종 제외 100% 사용)
대상 직원 115명 중 총 90명 1일 2시간의 육아 시간 사용
열린소통과 레포츠가 가능한 사옥 (애터미 파크)
최고급 레포츠 시설(승마장, 수영장, 캠핑장 등)운영
2년,5년,7년,10년 근속자 가족여행 지원
출퇴근, 휴가, 해외출장 등도 임직원 스스로 판단하고 결재
영업 직군은 원격근무제, 생산‧시험 직군은 시차출퇴근제 등 업무 특성에 맞춘 유연근무제도 활용
징검다리 휴일을 단체 휴가로 지정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금성 복지 포인트 제공
인문학, 과학, 영어교재 등 분야 및 금액 제한 없는 도서 구입비 지원
대학 및 대학원 졸업 시 연차 소진 없는 특별 연차 지원
건강식 위주의 스낵/샐러드바 운영(편의점 대비 5~70% 저렴)
월 1회 금요일 조기퇴근제(먼저간 DAY) 실시
연 1회 가족 사랑 휴가 실시(연차 3일 사용시 휴가비 지급)
시차출퇴근제 및 재택근무제(주 2회 가능) 운영
자녀 돌봄‧교육을 위한 자란다 포인트 지급(월 10만원)
코로나 기간 전 구성원 재택근무 시행 및 밀키트 자택 발송, 사옥 출근 시 택시비 지원,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포스트 코로나 대비 일하는 시간‧장소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워크 제도 시범 실시 중
집중 근무 시간(11~16시) 준수하는 선에서 자율 근무 제도 시행
코로나 기간 전 직원 재택근무 활용 및 휴가 일정 본인 승인 및 사용
금요 유급 단축 근무 제도 시행(월 2회, 4시간)
장기 근속 포상 휴가 지원 및 출근 셔틀버스 운영
주35시간제 운영 및 출퇴근 시간 탄력적으로 조정 가능
점심 시간 2시간 운영 및 휴가 자율 승인제 실시
6~11시 사이 출근 시간 선택 가능
재택근무 중 점심 식비 지원 증액, 출근 사유 발생시 왕복 택시비 지원 및 온라인 회식 운영
부분적 선택근무제 운영 및 연 1회 종합 건강검진 시행
조식, 음료, 다과 지원 서비스 운영
심리 상담, 여가 생활 지원 및 자녀 학자금 지원 등
선택근무제 시행 및 PC-OFF제(근무시간 설정에 따름) 운영
미성년 자녀의 돌봄을 위한 자녀돌봄휴가 운영(자녀 1명일 경우 연간 2일, 자녀 2명 이상일 경우 연간 3일)
수요일 정시 퇴근제 운영(사무실 일괄 소등, 내부 행사 및 회식 금지)
시차출퇴근제 운영 및 가족 초청 행사 운영
8~10시 30분 단위 출근 시간 선택(1개월 단위)
금요일 30분 조기 퇴근 문화 조성
업무 외 어학 등 자기 계발비 지원 등
7~10시 사이 30분 단위로 출근 시간 선택 및 1주일 단위 시간 변경 가능
연구‧개발, 사무직 대상 선택 근무제 운영 및 확대
사업장 밖에서 주로 근무하는 직군 대상 간주근로시간제 도입
카페테리아, 헬스장, 풋살장, 농구장, 탁구/당구 시설 등 사옥의 30%를 직원 복지를 위한 시설로 설계
조식 제공 및 옥상 정원, 중정, 휴식 공간을 활용한 힐링
1시간 단위의 자유로운 연차 제도 활용
기념일 2시간 조기 퇴근, 육아 및 학업 등 사유 시차출퇴근제 도입
체력단련비(연 50만원 한도)와 교육비(연 100만원 한도) 지원